2009-11-29
Jacques Lacan
"내가 발언 중에 찾은 것은 타자의 응답이다. 나를 주체로 유지시키는 것은 바로 나의 질문이다...나는 언어를 통하여, 그러나 오직 나 자신을 마치 하나의 대상과도 같이 취급함으로써만이 자기정체성을 확인한다"
Jacques Lacan, "The Function and Field of Speech and Language in Psychoanalysis"
라깡천재.
2009-11-21
Bye Bye Blackbird
Pack up all my care and woe
Here I go
Singing low
Bye bye blackbird
Where somebody waits for me
Sugar's sweet so is she
Bye bye Blackbird
No one here can love or understand me
Oh what hard luck stories they all hand me
Make my bed and light the light
I'll be home late tonight
Blackbird bye bye.
2009-10-31
Ingres

Jean-Auguste-Dominique Ingres. Portrait of Princess De Broglie. 1853. Oil on canvas.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USA.
뭐.. 이런거 보면 그림그리기 무서워지는거지.
2009-10-15
The Factory Box Set

Release date
12 January 2009
Label
Rhino
Tracklisting
DISC 1
1. Joy Division: Digital
2. A Certain Ratio: All Night Party
3. OMD: Electricity (Original version)
4. Joy Division: She's Lost Control
5. The Distractions: Time Goes By So Slow
6. Joy Division: Transmission
7. The Durutti Column: Sketch For Summer
8. X-O-Dus: English Black Boys
9. Joy Division: Love Will Tear Us Apart
10. A Certain Ratio: Shack Up
11. Section 25: Girls Don't Count
12. Crawling Chaos: Sex Machine
13. A Certain Ratio: Flight
14. The Names: Night Shift
15. New Order: Ceremony (Original 7" version)
16. Minny Pops: Dolphin's Spurt
17. John Dowie: It's Hard To Be An Egg
18. Crispy Ambulance: Deaf
19. Section 25: Dirty Disco
DISC 2
1. New Order: Everything's Gone Green
2. ESG: Moody
3. Tunnelvision: Watching the Hydroplanes
4. The Durutti Column: Messidor
5. A Certain Ratio: Knife Slits Water (LP version)
6. Royal Family and the Poor: Art on 45
7. Swamp Children: Taste What's Rhythm
8. New Order: Temptation
9. 52nd Street: Cool As Ice
10. New Order: Blue Monday
11. Cabaret Voltaire: Yashar (John Robie Remix)
12. Quando Quango: Love Tempo
13. The Wake: Talk About The Past
DISC 3
1. New Order: Confusion
2. Marcel King: Reach For Love
3. Section 25: Looking from A Hilltop (12" Restructure)
4. Stockholm Monsters: All At Once
5. Life: Tell Me
6. The Durutti Column: A Little Mercy (Duet)
7. James: Hymn From A Village
8. Kalima: Trickery
9. A Certain Ratio: Sounds Like Something Dirty
10. Quando Quango: Genius
11. Happy Mondays: Freaky Dancin'
12. Miaow: When It All Comes Down
13. The Railway Children: Brighter
14. Biting Tongues: Compressor
15. New Order: True Faith
16. Happy Mondays: 24 Hour Party People
DISC 4
1. New Order: Fine Time
2. Happy Mondays: WFL (Think About the Future)
3. Revenge: Seven Reasons
4. Happy Mondays: Hallelujah (Club Mix)
5. Electronic: Getting Away With It
6. Happy Mondays: Step On
7. Northside: Shall We Take A Trip
8. England New Order: World In Motion
9. Happy Mondays: Kinky Afro
10. The Durutti Column: Home
11. Electronic: Get The Message (DNA remix)
12. Northside: Take 5
13. Cath Carroll: Moves Like You (Remix)
14. The Other Two: Tasty Fish (12" mix)
15. Happy Mondays: Sunshine and Love (Lionrock Remix)
이건 분명 2009 올해의 베스트 앨범.
2009-10-04
2009-10-03
note
빌딩.
건물.
고층.
직선.
부재.
유령.
폐허.
불빛.
흔적.
기억.
숭고.
어둠.
인지.
심사.
애도.
반복.
바람.
공기.
무상.
곡선.
기능.
관습.
나열.
발흥.
수직.
동일성.
생경함.
남겨지다.
알레고리.
trace.
track.
cluster.
crevice.
suburbia.
uncanny.
vernacular.
2009-09-26
2009-08-31
2009-08-30
Jeff Buckley - Lilac Wine
1995년 라이브인데,
이건 아무래도 내 아이팟에있는 Liquidroom에서 했던 라이브가 확실한것같다.
오늘 그림그리면서 2년정도만에 들어봤는데, 아무리 루저킹찌질이라도 좋은건 어쩔수없다.
그림을 그리면 역시 노래를 많이듣게된다.
생각도 많이하게된다.
고로 괴로워진다.
언제부터 이렇게 되었을까나.
2009-08-29
Quai de Grenelle

파리에서 보기드문 고층빌딩이 줄지어있어 파리의 뉴욕이라 불리는 (말도안되는) 동네인데,
내가 살던 Rue de Javel 코너를 돌면 바로 나와.
저기 세느강변길은 내가 아침마다 산책하던 곳인데 밤만되면 동네건달들이 출몰해서 무서워.


이상한 모양의 건물들이 많은데 이 건물은 우주정거장같아.
오피스는 아니고 아파트. 다들 비슷해보여도 오피스와 아파트를 엄격하게 구분해놓던데,
왜 그런지는 모르겠어. 얼핏 이 건물 뒤로 내가살던 아파트가 보이는것같기도한데...


이건 NOVOTEL EIFFEL 건물인데,
너무 뚱뚱해서 이상하긴한데 묘하게 끌리는 건물이었어.
나름 귀여운 디테일도 있고.
남의 동네구경 놀이 오늘은 여기까지.
2009-08-25
2009-06-28
2009-06-24
2009-06-21
2009-06-05
note. Le stade du miroir
L'assomption jubilatoire de son image spéculaire par l'être encore plongé dans l'impuissance motrice et la dépendance du nourrissage qu'est le petit homme à ce stade infans, nous paraîtra dès lors manifester en une situation exemplaire la matrice symbolique où le je se précipite en une forme primordiale, avant qu'il ne s'objective dans la dialectique de l'identification à l'autre et que le langage ne lui restitue dans l'universel sa fonction de sujet.
Cette forme serait plutôt au reste à désigner comme je-idéal1, si nous voulions la faire rentrer dans un registre connu, en ce sens nous reconnaissons sous ce terme les fonctions de normalisation qu'elle sera aussi la souche des identifications secondaires, dont libidinale. Mais le point important est que cette forme situe l'instance du moi, dès avant sa détermination sociale, dans une ligne de fiction, à jamais irréductible pour le seul individu, - ou plutôt, qui ne rejoindra qu'asymptotiquement le devenir du sujet, quel que soit le succès des synthèses dialectiques par quoi il doit résoudre en tant que je sa discordance d'avec sa propre réalité.
C'est que la forme totale du corps par quoi le sujet devance dans un mirage la maturation de sa puissance, ne lui est donnée que comme Gestalt, c'est-à-dire dans une extériorité où certes cette forme est-elle plus constituante que constituée, mais où surtout elle lui apparaît dans un relief de stature qui la fige et sous une symétrie qui l'inverse, en opposition à la turbulence de mouvements dont il s'éprouve l'animer. Ainsi cette GestaIt dont la prégnance doit être considérée comme liée à l'espèce, bien que son style moteur soit encore méconnaissable, - par ces deux aspects de son apparition symbolise la permanence mentale du je en même temps qu'elle préfigure sa destination aliénante ; elle est grosse encore des correspondances qui unissent le je à la statue où l'homme se projette comme aux fantômes qui le dominent, à l'automate enfin où dans un rapport ambigu tend à s'achever le monde de sa fabrication.
Pour les imagos, en effet, dont c'est notre privilège que de voir se profiler, dans notre expérience quotidienne et la pénombre de l'efficacité symbolique 2, les visages voilés, - l'image spéculaire semble être le seuil du monde visible, si nous nous fions à la disposition en miroir que présente dans l'hallucination et dans le rêve l'imago du corps propre, qu'il s'agisse de ses traits individuels, voire de ses infirmités ou de ses projections objectales, ou si nous remarquons le rôle de l'appareil du miroir dans les apparitions du double où se manifestent des réalités psychiques, d'ailleurs hétérogènes.
Qu'une Gestalt soit capable d'effets formatifs sur l'organisme est attesté par une expérimentation biologique, elle-même si étrangère à l'idée de causalité psychique qu'elle ne peut se résoudre à la formuler comme telle. Elle n'en reconnaît pas moins que la maturation de la gonade chez la pigeonne a pour condition nécessaire la vue d'un congénère, peu important son sexe, - et si suffisante, que l'effet en est obtenu par la seule mise à portée de l'individu du champ de réflexion d'un miroir. De même le passage, dans la lignée, du criquet pèlerin de la forme solitaire à la forme grégaire est obtenu en exposant l'individu, à un certain stade, à l'action exclusivement visuelle d'une image similaire, pourvu qu'elle soit animée de mouvements d'un style suffisamment proche de ceux propres à son espèce. Faits qui s'inscrivent dans un ordre d'identification homéomorphique qu'envelopperait la question du sens de la beauté comme formative et comme érogène.
Le stade du miroir
comme formateur de la fonction du Je telle qu'elle nous est révélée dans l'expérience psychanalytique.
Jacques Lacan
Communication faite au XVIè Congrès international de psychanalyse, à Zürich, le 17 juillet 1949.
2009-05-29
Benjamin님 말씀하시길.
"그리하여 또 다른 형태의 침묵이 시작된다. 이를 우리는 자연의 가슴 아픈 애도라 부르자. 이는 형이상학적 진리다. 자연에 말을 부여한다면, 모든 자연은 소리 높여 탄식을 하리라 [...] 그 모든 애도 속에서 자연은 말이 없으려고 한다."
Walter Benjamin, Gesammelte Schriften Band II,I.S.
2009-05-20
지루함
맹랑하게 떠돌아 다니는 말들도,
진부하게 그렇게 말할수밖에 없는 말들을 듣는것도,
아무 흥미없는그림들도,
어디선가 몇번이나 본듯한 이미지도,
모든것이 자기만의 것인냥 주장하는 모습도,
진부한 그림에 진부한 이야기만 해대는 상황도,
'태도'니 '내부'니 '내면'이니 어쩌니 하는 단어는 그 자체로 지루하기 짝이없다.
종이한장에 삼라만상 다 담은양 착각하는 상황도 우습다. 하지만 그것을 더 모호한 언어로 설명하려고 하는 강박에 시달리며, 결론적으로 '알수없음' 혹은 '설명하기 힘든 지점이 분명히 존재합니다'라는 무책임한 말로 덮어버리는 것이 더 황당한 시츄에이션인것이다.
아무런 것도 흥미없으며 재미없으며 지루하다.
이 상태는 꽤 오래전부터 그래왔던것같은데 오늘에서야 확신이 든다.
지루해 죽을지경이다.
정말 재미없다.
무슨말인지도 모르겠다.
결국 그림이라는 것이 허무맹랑한 흥건한 자위의 흔적으로 밖에 인식되지않는다.
그들의 내면의 농밀한 이야기는 궁금하지도 않은데 말이다.
물론 나도 포함이다.
그림의 내부에는 무언가가 있다는데, '그 무언가'는 무언가?
너무거창해서 무릎이라도 꿇어야 될 지경이다.
차라리 캔버스 천, 나무, 혹은 종이 등 그 자체의 물질성 만으로 존재하는게 '그림'이라는 것의 솔직함일지도 모르겠다.
아, 정말 재미없다. 지루해죽겠다.
제일 큰 문제는 내가 하고있는 작업과 말이 이러한 조건을 가장 충실하게 충족시키고있다는 것이다.
아마도 순위권안에 들게 분명하다.
2009-05-19
2009-05-16
the fancy image of the fancy conception

fancy와 kitsch의 미묘한 신경전 혹은 줄다리기는 매우 즐겁다.
그래서 저기 뒷면에 dear-, 열줄정도 긋고, from- 따위를 써넣으면 삼만원받아도 될까.
거듭 강조하지만 봉투도 만들수있는데말이지....
(click to enlarge 입니다.)
2009-05-15
계단
바로 계단.
많은 조각들은 기계처럼 동일한 크기로 잘라내고 연결하는 작업이
크기, 노력 여하, 혹은 방법에 따라 그 오차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산술적 계산과 일치하기란
우연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하다 하겠다.
명백하게 그 이유는 완벽한 통제가 불가능한 변수가 너무 많은 것인데
계단의 폭과 높이 구성하는 재료들의 크기,접착제의 두께,
부분 재료들이 만나는 각도 등등
실제로 사람이 이용하는 계단을 처음 만들어보니
더 영리하게 설계된 도구들을 이용하지만서도
손으로 재고, 그리고, 잘라서 만드는 이상
오차가 없을 수는 없다.
물론 오차를 만드는 변인들은 달라지지만
변수가 3개 이상이 되면
평범한 인간의 두뇌로는 통제가 어려운듯하다.
기계를 이용해 만든 재료를 사용한다면 이야기는 조금 달라진다.
사람이 쉽게 인지할 수 없는 범위내의 오차로
많은 변수들은 통제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오차를 알기 어려울 뿐이지
오차가 없다 할 수는 없다.
제작과정에서 미세한 변수들이 또한 많이 작용하고
기계 자체에 오차가 전혀 없다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소싯적에 항상 궁금했던 것 중에 하나는
'자를 만드는 기계를 만드는 기계가 있는가?'였는데,
예를 들어, 직각자를 만드는 기계는 정확한 직각을 내재하고 있다면
과연 그 기계를 만들때 직각은 어떻게 맞추느냐가 의문이었다.
길이, 시간 등은 기본적으로 인간이 만든 표준이 있기 때문에
그 기준을 따르면 된다 하겠지만,
직각이란 것은 수학적으로 정의된 것이기 때문에
현실에서 한치의 오차없이 지각을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였다.
요즘에 오차를 줄이는 일이란
더이상 줄이나 안줄이나 알 수 없는 지경이다.
하지만 그 오차는
0으로 끝없이 수렴하는 무한급수와 같아서
0이라 치자 할 수는 있지만
결코 0이다 할 수는 없는 슬픈 운명같이 느껴진다.
오늘의 계단 제작이 성공적이었다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은
그 느슨한 과정에서 없던 아이디어들이 꺼내져 만들어졌다는 것. bricoleur.
설계도와는 조금 달라진 오늘의 계단이
설계상의 계단보다 나아보이는 것은 애착일 뿐이겠지만.
어차피 달라질 계단.
2009-05-13
진짜
건축은 시각예술이 될 수 없다.
사람의 인지 감각중 가장 빨리 피로를 느끼는 부분은 시각이다. 눈의 초점이 한 점에 머물 수 있는 시간은 대단히 짧고 그 후에는 동일한 장면은 인지할 수 없다. 때문에 사람이 한곳을 주시하고 있다 느낄 때에도 사실 눈의 초점은 목표 지점의 미세한 부분부분을 끊임없이 맴돈다. 너무 강한 자극을 지속적으로 수용할 수 없기 때문인가.
시각 예술은 관람자에게 시지각적 경이이고 장관이다.
많은 것을 환기시키지만 구현하지 않는다.
건축이 시각 예술이 되지 못하는 이유는
시각으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간결하고 강력한 찰나의 자극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기에는
둔하디둔한 덩어리이다.
현재의 다수가 칭송하는 한켠의 건축이란 장인이 없는 시각 예술이다.
시지각적 자극에 머물러 경험을 구현하지 않고 재현한다.
감히 현혹이라 하겠다.
삶을 영위하는 공간은 시각적 자극에 머무르지 않는다.
어쩌면 시간의 누적, 반복적 경험은 시각을 심상의 일부로 전환시킨다.
이때에 시각적 심상은 다른 심상들을 재현하는 도구에 불과하다.
공간에 의한 행위의 구현은 생활이라는 실체를 만들어내고
그 누적은 삶이라는 실존을 구체화한다.
그런데
진짜란 뭘까.
2009-04-28
2009-04-26
that fascinating hydrangea
나는 소매가 없는 옅은 베이지색 실크 블라우스를 입고있었다. 그 블라우스는 몸에 잠시 달라붙었다 떨어졌다를 반복했다. 4시가 다 되어서 연희동에 도착했다. 그 커피집의 주인부부는 심각하다 싶을 정도로 말이 없었고, 역시나 그랬다. 8월의 여름에 홀로 앉아 뜨거운, 정말 뜨거웠던 커피를 마시는 둥 마는둥 하며 'Mourning and Melancholy'따위의 책을 읽으려니 어쩐지 프로이트의 분석하고 따지고 드는듯한 말투가 거슬려 책을덮고 밖으로 나왔다. 내가 나가려하니 여자주인이 흰색의 아무런 무늬없는 긴 종이컵에 뜨거운 커피를 담아주었는데, 그 종이컵의 모양이 무척마음에 들었다.
곧바로 집으로 가려고하니 저녁 6시즈음이라, 차가 막히기시작했다. 그 시간의 양화대교는 언제나 차가 많았었다. 해가 지고 있었는데 여름의 하늘은 왜 높을까라고 생각하니 여의도에서 먹었던 파이가 생각났다. 단지 재료의 밀도만 높은 그런 맛이었다. 차 안의 스피커에서는 'Milonga for 3'가 흘러 나오고 있었는데, 그 쯤엔 나의 유일한 사각의 아무 무늬도 없는 투명하기만 한 높은 유리병에 수국을 꽂을 생각만 했었던 것 같다. 그 긴 화병과 수국의 형태의 밸런스에 젖어 있을때, 프랭크 자파가 노래를부르기 시작했다. 'I have been in you'. 지나치게 로맨틱하여 어쩐지 부담스러웠다. 꽉 막혀있는 다리위에서 프랭크자파가 노래를 하니 브라이튼의 풍경이 조각난 채로 재빠르게 나타났다 사라졌다를 반복했다.
모든것이 지나가 버린 일이었다.
2009-04-21
Anita Berber

Born to divorced bohemian parents (a cabarét artist and a violinist), she was raised mainly by her grandmother in Dresden. By the time she was 16, she had moved to Berlin and made her debut as a cabaret dancer. By 1918 she was working in film, and she began dancing nude in 1919. She was scandalous, androgynous and infamous, quickly making a name for herself on the Berlin scene. She wore heavy dancer’s make-up, which on the black and white photos and films of the time came across as jet black lipstick painted across the heart-shaped part of her skinny lips, and charcoaled eyes.
2009-04-15
2009-04-13
2009-04-05
곧 지우게 될 이야기.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기분이 좋지 않았다. 오늘도 내가 살아 있다는 것에 대한 회의와 환멸감에 몸서리치고 있다. 아, 이번 한주는 또 어떻게 보내나. 대충 적당히 살아가면 다시 또 한 주가 오고 또 한 주가 오고 계속 반복되겠지. 그 어떤 의미도 찾기 힘든 상태가 되었다.
지나가는 풍경이 시시하고 무기력해 보인다. 이런 판단을 할 수 있다니, 나는 아직 살아있는 것인가. 어떤 것에도 무관심하다 생각했는데 과도할 정도로 관심이 많다. 하지만 이런 단편적이고 일시적인 관심이 도대체 무슨 소용이 있단 말인가. 오늘도 나는 평소대로 살아 갈 것이고 내일도 특별한 일이 없다면 아마 그렇게 될 것이다.
넘치는 배설물들이 가득 차오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인간들은 무엇을 위해서 쉴 새 없이 말하고, 무언가를 만들어 내고, 또한 얻고자 하고, 필요로 하는 것일까. 무언가를 쏟아 내는 것이 두렵다. 하지만 내 스스로 그러한 자신을 볼 때면 견딜 수 없이 내 자신이 혐오스럽다. 이들과 그들이 그리고 내 자신이 쏟아내는 배설물이 가득 차, 더 이상 아무런 숨 쉴 곳이 없다고 느껴지는 순간이 있다. 머리는 이미 활동을 멈추고 단지 반사적으로 반응 할 뿐이다. 굳이 헤아려 본다면 어느 순간엔가 부터 그러한 날이 대부분이며 나는 내부로 더 깊이 가라앉고 있음을 느낀다.
어떤 순간이 있었다. 눈을 감고 거대하게 밀려오는 어둠의 양을 꽤나 힘들게 받아들이고 있을 찰나에, 눈앞에는 아무것도 없는 눈길이 보였다. 그 어느 것도 존재하지 않았고 단지 발등을 덮을 정도의, 미세하지도 거칠지도 않은 정도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은 눈이 쌓여있었다. 나는 이미 오래 전부터 그 길을 걸어오고 있었던 듯 했다. 아마 나는 그 진행의 도중에 그것을 인지했다보다. 나는 계속 걷고 있었다. 끝이 나지 않을 것만 같았다. 걷고 또 걷고 끝없이 걸었다. 어떠한 방향도 이유도 모른 채, 아니 그런 것들을 인지하고자 하는 욕구도 또한 필요도 존재하지 않았었던 것 같다. 사방이 온통 끝없는 하얀색 이었고, 내가 볼 수 있는 끝부분은 아마 지평선을 그리고 있었을 텐데, 그 색의 경계가 내가 알고 있던 어떠한 색보다 미묘하게 비슷한 것이어서, 구분하기 힘들었고, 나는 더 이상 알고 싶지도 찾고 싶지도 않았었던 것 같다. 한참을 오랫동안 걸었었던 것 같다. 어느 순간엔가 내 발밑에는 곧게 그어진 선이 나타났다. 내가 본 그것 중에 아마 가장 정확하고 섬세하며, 예리하고 또한 날카로운 것이었던 것 같다. 그것의 정확함은 공포를 자아내기에도 충분했고, 감탄해 마지않을 것이기도 했다. 그 날카로운 선의 시작으로부터는 까만색의 공간이 있었다. 어떤 설명이나 묘사도 할 수 없을 정도의 무심한 까만색이었다. 물성, 질감, 온도 따위를 파악하고자 하는 시도를 할 겨를도 없었을 뿐더러, 그 모든 것이 불가능해 보였다. 나는 몸을 숙여 아래를 내려다보았다. 내가 걸었던 흰색의 눈길의 단면이 보였다. 아마 한 뼘 정도 되는 듯 했다. 나는 구부렸던 몸을 바로 세우고, 아마도 한참을 미동도 없이 서 있었었던 것 같다. 그리고 눈을 뜨고, 다시 눈앞에는 익숙한 풍경속의 창문이 있었고, 적당히 투명한 정도의, 아니다. 꽤 투명했었던 것 같은, 약간 어두운 코발트색의 어둠이 있었고, 습하고 따뜻한 공기에 가끔 차가운 바람이 힘없이 그 사이를 파고들었다 곧 사라지고 있었다.
2009-04-03
여름.
등교길에 지하철밖으로 내다보이는 풍경은,
물결위에서 콘크리트 다리의 그림자가 기차의 그림자속으로
하나씩 사라져 버리는 것이었는데,
그 풍경이 묘하게도 재미있고 새삼스러워
아, 이런것이 살아있는 즐거움인가 싶다가,
그 사이 잠깐 이 모든게 아무 의미가 없을 것이라는것을 깨닫는 찰나,
지난여름 햇볕이 내려쬐는 여의도 빌딩숲속 어딘가에서,
Nina Simone의 Newport에서의 You'd be so nice to come home to를
듣고 이렇게 침울한 해석이라니- 라고 생각하며,
Isley Brothers의 summer breeze를 재생시키고, 한참을 오래 걸었던 기억이 났다.
2009-04-01
아름답다.
죠슈아가 말하길,
시애클 도서관이 오픈하기 전에는
다들 건물이 못생겼다 하다가
사람들이 그 건물에 들어가본 후에는
못생겨도 상관없다든가 아름답다는 반응으로 바뀌었다는데
이건
못생겼다 생각한 아기가
웃고 뛰어노는 모습을 보고서는
귀엽다 느낀 것과 같은 맥락인가.
어쨌든 스펙타클로 승부를 볼 수 있다는건 현재로선 진리.
하지만 못생긴 여자에겐 적용되지 않는 법칙이라 슬프다.
2009-03-28
ghetto, the urban condom
이는 섞일 줄 모르는 두 집단의,
일종의 적과의 동침을 가능케하는
집단과 공권력이 함께 만들어낸
단단한 도시 조직이다.
-Loic Wacquant
The Humans Are Dead
그림그리다 이거보면 힘이난다.
요즘 플라잇 옵더 콩코즈에서 베슷.
특히 그.. 지로지로지로원지로지로지로원원... 여기가 최고야.
디지털시대를 적절하게 표현했다고보아.
2009-03-26
질문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from ( ) to nothing 이라는 문장에,
괄호안에 어떤 말이 어울릴까 고심했는데,
아무래도 이거다! 싶은게 떠오르질 않아서 괴로워하고 있던 찰나.
질문을 마구 던져, 강요해봅니다.
connectivity and contingency
이 주의 단어나 문장들이 스물스물 떠오를 때, 굳이 그 과정을 분석하려 해본다면, 아무 연관성 없이 순간적이고 즉각적으로 마구 밀려오는 그런 느낌의 것인데, 이런식으로 받아들이고 분석하는 것에 대해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
사실 내가 모르는 이상한 프로세스가 존재하는게 아닐까.
게다가 그것이 아주 정교하고 계획적이고 치밀하게!
그렇다면 뭔가 배알이 꼬여서 그 꼴을 가만 보고있기 힘들것같긴한데.
그 이상한 프로세스에 대한 의문은 구체적인 이미지로 나타나는데, 생각할 수 있는 한계는 팀버튼식의 기계장치의 움직임정도라던가, 맨인블랙에서 대가리안에 들어있는 고 귀염둥이라던가, 왕케로로 눈알안에서 조종하는 작은 케로로 종족들 정도.
한마디로, 뭔가 이상한 생물체들이 꿈지럭꿈지럭 머릿속에 들어있다는 생각을 서른줄을 바라보는 이 나이에도 하고있다는 소린데, 사실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한다.
그래서 이들을 내가 컨트롤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매우 심각하게 할 수 밖에 없다.
(일단 지금까지는 내가 조종당하고 있는것 같긴한데.)
그래서 이것들이 혹시 내가 몇년째 의식적인것 같기도 하지만, 무의식적이라고 해야 좀 더 간지가 날 것 같은, '이 주의 단어 혹은 문장'의 영역에도 간섭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라는 의문이 들어버린것이다.
만약그렇다면, 이런식으로 스물스물 개입하기시작하면, 앞으로는 어찌될것인가.
아무리 생각해도 나는 쓸데없는 고민만들기의 달인인것같지만, 사실 걱정이 되기도 한다.
린다 노클린아줌마는 결혼이 필연적으로 자아를 '손실' 시킨다고 했는데, 나는 이자식들에 의해 자아를 손실당하면 어쩌나.
혹은 이런식의 유치한 동화같은 상황을 설정해놓고, 이유야 다양하겠지만 아무튼 결론적으로, 손실되고 있는 자아에 대한 합리화 내지는 도피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그래서, 내가 contingency라고 믿고 있던 상황들이 사실은 스스로 인지 불능상태에서 철저하게 계획된 것이거나, 혹은 전혀 상상 밖의 어떤 것과의 긴밀한 connection에 의한것이 아닐까 라는 의심을 이제서야! 하기시작했다.
모든분석이 이미 끝났겠지만, (항상 모든 문제는 내가 책을 안읽어서 라고 하지만. 아무튼 책에는 모든것이 다 나와있단다.) 나는 이 문제를 스스로 풀어야할 필요성을 느끼고있다. 얼씨구.
나는 우연성이란 것을 매우 믿는사람이라, '그딴식으로 분석하지마 혹은 파고들지마'라고 주장하지만. 뭔가 수상한 냄새를 맡았달까.
예를 들어, 이 주의 문장인
1. Nobody's love
2. Finally we are no one
의 예를 들어보면, 사실 1번은 이게 말이 되나 안되나조차 판단이 안될뿐더러, 어찌 튀어나온 말인지도 모르겠고, 2번은 Mum의 노래 제목이다.
그런데 이 두 문장이 왜 갑자기 거의 동시에 떠올라 한 주 내내 빙빙 돈단말인가.
파트너님의 말대로 결국 Everybody's love로 합쳐질 운명이었나.
하지만, 이것들은 분명하게 따로, A와 B로 존재했었고, C같은건 애초에 생성 불가능인 그런 느낌이었는데! 결론적으로 C와 같은것이 생겨버렸고. 어쩐지 이런 과정이 더 그럴듯 해 보인단 말이지.
또, 지난주였나 그 전주였나. 아무튼 그때의 '경도'와 '진정성'. 이것들도 얍삽하게 연결된 C가 존재하는 듯한 느낌이다. 정확하게 꼬집어서 설명하려면 2박3일정도 CPU를 돌려야 될것같아서 패스. 하지만 뭔가 이상한 '무언가'가 있다.
또한, 이런 맥락에서 보면, 그림을 그릴 때 내가 영감님을 모신다고 '주장'하는, 한번에 방대한 양의 이미지들이 몰아닥치는 상태에서 머릿속에서 그림을 그려 나가는 행위는 불현듯 찾아오는 마구잡이의, 소위 아티스틱한 무언가는 없고, 사실 마구잡이의 연결에 의해 계획된 것이라는 의심도 드는데, 그럼 내가 나름 매우 있어보인다고 판단하는 '영감님 모시기'는 사실 애초에 없었던 것이 아닌가. 라고 생각하면 절망적.이니 아니라고 한번 봐주자.
내가 인지하지 못하는 모종의 connection이란 어쩐지 음흉한 그런 느낌이다.
이 음흉한 생명체들을 어떻게 찾아낼것인가.
음악을 들을 때도 이상한 connection이 발견된다. 사실 이런건 누구나 그럴테지만.
나는 머릿속에 이상한 주머니들을 만들어놓고 거기에 몇몇 뮤지션들이나 곡을 묶어서 기억하는 편인데, 그 카테고리 분류는 아무래도 설명하기 쉽지않다.
하나의 주머니를 예로들어 보자면,
Mogwai 와 Gomez, Yo La Tengo가 한묶음이다.
아, 그런데 이 조합은 제정신으로 생각해보면 아무래도 어울리지않는다.
출신지역으로 묶이는 것도 아니고, 음악스타일로 묶이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셋을 묶을만한 어떤 개인적인 특수한 경험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등등. 도무지 언제부터 셋이 세트가 되었는지도 의문이다.
하지만 이 셋은 이미 한덩어리가 되어있어서 곡의 제목만 말하고 누구의 곡인지 구분해 내는것도 매우 힘든 일이고, 심지어 (전혀다른 스타일임에도 불구하고) 음악을 듣고도 구분이 잘 안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연결관계는 좀 심하다 싶을정도로 끈끈한것같은데. 도대체 어찌하여 이런 현상이 일어난 것일까.
그냥 쉽게 contingency. 라고 말하면 대답이 될 것같긴하다.
또한, connection과 contingency란 단어는 어째서 묶여졌을까.
사실 connection에는 disconnection이, contingency에는 inevitability정도의 단어가 더 논리적으로 그럴듯 하지 않나.
단순하게 생각해보자면 둘다 con-으로 시작되는 것이 마음에들어서 선택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사실 나는 강박적으로 대칭구조를 좋아하니, 이 정도 수준의 분석.
그래서 이야기하고싶은것은. 필연이냐 우연이냐. 모든게 우연같지만 사실 필연적이란다. 라는 말이 듣고싶은게 아니라. 이 애매한 관계에서, 어떤 요소혹은 무언가에 의해 우연성이 의심을 받게 되느냐의 의문.
아, 내싸랑 contingency는 어디에!